![[Ncloud] Linux NFS 서버 구축하여 다른 Linux 서버에 마운트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F7zBS%2FbtsGKb1ipiE%2Fn8GHzBkdwwsE73FbOiken1%2Fimg.png)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Ncloud에서 Linux NFS 서버를 구축해서 다른 Linux 서버에 마운트 하는 실습을 진행하겠습니다. 실습에 앞서 두 대의 서로 다른 Linux 시스템이 있어야 하고 네트워크 통신이 되어야 합니다. 0. 실습 배경 Ncloud에서 NAS 상품군은 1개의 볼륨에 최대 10TB까지 설정이 가능합니다. 이 얘기는 10TB를 넘기면 추가적으로 볼륨을 생성한 후 다른 경로로 마운트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 경우 NAS 서버를 만들어서 디스크 확장을 통해 1개의 경로에 대용량의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기업 규모에서 10TB는 작은 용량이기 때문에 Ncloud에서는 NAS 서버를 만들어서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1) Windows 공유 폴더를 Linux에 마..
![[Ncloud] Samba를 이용한 Windows 공유 폴더 Linux에 마운트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4PXBY%2FbtsGFx3cxjo%2FkjYgEU125yNCHSNSUjk0H0%2Fimg.png)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Ncloud에서 Samba를 이용한 Windows 공유 폴더를 Linux에 마운트하는 실습을 진행하겠습니다. 0. 실습 배경 Ncloud에서 NAS 상품군은 1개의 볼륨에 최대 10TB까지 설정이 가능합니다. 이 얘기는 10TB를 넘기면 추가적으로 볼륨을 생성한 후 다른 경로로 마운트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 경우 NAS 서버를 만들어서 디스크 확장을 통해 1개의 경로에 대용량의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기업 규모에서 10TB는 작은 용량이기 때문에 Ncloud에서는 NAS 서버를 만들어서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1) Linux 공유 폴더를 Windows에 마운트하기 https://eveningdev.tistory.com/212 [Ncloud] Samba를..
![[Linux] /etc/rc.d/rc.local에 대해 알아보고 재부팅 시 자동으로 스크립트 적용해보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E92qf%2FbtsCjXkKJ8L%2F2mbEjwF5UZvl6TnlyHk8v1%2Fimg.png)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etc/rc.d/rc.local에 대해 알아보고 서버 재부팅 시 자동으로 스크립트를 적용해 보겠습니다. 0. 포스팅 개요 1. 운영 업무를 하다가 PM 직전 fstab 확인을 하였는데 NAS에 대한 fstab 설정이 없어서 확인했는데 운영 환경인 서버라서 설정 정보가 틀리면 서버 재기동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 2. 마운트 등록 정보가 Shell Script 형태로 있는 상황 3. 서버 재기동 시 떨어져 있는 NAS를 자동으로 마운트 되어야 하는 상황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etc/rc.d/rc.local을 통해 서버 재기동 시 쉘 스크립트 파일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마운트 되게 끔 설정하였습니다. 1. /etc/rc.d/rc.local 란? 리눅스 시스템에서 부팅 시 자..
![[NCP] NCP에서 기존 LVM에 LV 용량 증설 및 축소, VG에서 PV 추가 및 제거하기 -Linux](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tTzyt%2FbtsyPyPrCnV%2FpJmxVaNE2nATBIRQtcMKY0%2Fimg.png)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NCP에서 기존 LVM에 용량 증설하는 실습을 진행하겠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다 보면 데이터가 누적되며 디스크가 가득 차게 되면 다양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용량의 디스크 공간을 확보하거나 부족하면 용량을 증설하는 방법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VG(Volume Group)에 공간이 남는 경우 # vgdisplay로 VG 상태 확인 vgdisplay 다음과 같이 VG(Volume Group)에 여유 공간이 남는다면 해당 공간을 기존 LV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현재 저의 서버에서는 LV(app, app_data)가 각각 5GB, 11GB를 할당받고 있습니다. 1. LV에 1GB 추가 할당 # LV에 추가 할당(lvextend 명령 ..
![[NCP] NCP에서 LVM fstab, mount, LV, VG, PV 제거(삭제)하기 -Linux](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x15rz%2FbtsyLo1uYPs%2FKiNSLlz6V3MDtSktd38Cl1%2Fimg.png)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이전 포스팅에서 설정했던 LVM 설정을 역순으로 제거하는 실습을 진행하겠습니다. 0. 이전 포스팅 리마인드 이전 포스팅에서 생성했던 LV를 ext4로 포맷하고 마운트한 후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 되게 끔 fstab을 설정했습니다. 1. fstab 설정 해제 # fstab 파일에서 mount 정보 제거 mount point가 /app_data, /app인 행을 제거합니다. :wq 2. mount 설정 해제 # mount 설정 해제 (unmount가 아닌 umount 입니다.) umount /app_data umount /app 다음과 같이 마운트가 해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LV(Logical Volume) 제거 # lvdisplay로 LV 상태 확인 lvdisp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