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loud] NCP에서 장기 저장 데이터 Object/Archive Storage 비용을 최소화하는 가이드](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uADv2%2FbtsNiVRqqM8%2FoXWVOf5kM6Dv4Q5DaQHg6K%2Fimg.png)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NCP에서 Object/Archive Storage 비용을 최소화하는 가이드를 작성하겠습니다.
1. 실제 사례로 보는 Object → Archive Storage 전환 효과
최근 저희 고객사 중 한 곳은 NCP에서 운영 중인 일부 데이터를 AWS 인프라로 마이그레이션하면서 스토리지 비용 이슈를 겪고 있었습니다.
(1) 상황 요약
- 해당 데이터는 사내 보안 정책상 2~3년간 보관이 필수
- 하지만 별도의 수명 주기(Lifecycle) 설정 없이 Object Storage에 저장된 상태로 운영
- 그 결과, 매월 약 70만 원의 저장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
단순 보관 목적의 데이터임에도 자주 조회되지 않음 → Object Storage는 과도한 선택
(2) AWS로 마이그레이션 하려다…
- 인프라는 AWS로 이전한 상황이라 스토리지를 AWS로 이전하는 방안도 고려
- 하지만 고환율, AWS 저장/전송 비용 부담이 커서 현실적인 대안이 되지 못함
- 결국, "장기 보관 후 삭제해도 무방한 데이터"라는 특성을 고려해 NCP 내에서 해결하기로 결정
(3) 선택한 전략: Object Storage → Archive Storage 전환
- 데이터를 압축 후 Archive Storage에 저장
- 조회 빈도가 낮은 데이터를 장기 보관하는 데 최적화된 서비스
- 비용 구조도 훨씬 저렴함
2. Object Storage와 Archive Storage의 요금 구조 이해
1. 요금 구조 비교
(1) 데이터 저장량 요금
항목 | Object Storage | Archive Storage |
데이터 저장량 요금 | 1PB 이하: 28원/GB 월 1PB 초과: 26원/GB 월 |
전 구간 동일: 5.5/GB 월 |
API 요청 수 요금 | PUT, COPY, POST, LIST 요청: 10,000건당 45원 (건당 0.0045원) GET 및 기타 요청: 10,000건당 4원 (건당 0.0004원) DELETE 요청: 무료 |
PUT, COPY, POST, LIST 요청: 10,000건당 600원 (건당 0.06원) GET 및 기타 요청: 10,000건당 60원 (건당 0.006원) DELETE 요청: 10,000건당 60원 (건당 0.006원) |
네트워크 전송 요금 | 인바운드 트래픽: 무료 아웃바운드 트래픽 (인터넷을 통한 전송): 5TB 이하: 120원/GB 5TB 초과 ~ 10TB 이하: 110원/GB 10TB 초과 ~ 30TB 이하: 100원/GB 30TB 초과: 90원/GB VPC ↔ Object Storage 간 사설 통신: 인바운드 트래픽: 무료 아웃바운드: 20원/GB |
인바운드 트래픽: 무료 아웃바운드 트래픽 (인터넷을 통한 전송): 5TB 이하: 100원/GB 5TB 초과 ~ 10TB 이하: 90원/GB 10TB 초과 ~ 30TB 이하: 80원/GB 30TB 초과: 70원/GB |
요금 구조를 보면 조회가 빈번한 데이터는 Object Storage, 자주 조회되지 않는 장기 저장 데이터는 Archive Storage가 적합합니다.
*데이터 저장량 요금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전송 비용이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아래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2. Object Storage와 Archive Storage 비용 예시
(1) Object Storage 비용
부가세가 별도이긴 하나 현재 한 고객사에서 보관 중인 데이터의 총크기는 25TB입니다. 이렇게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굉장히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합니다.
만약 Object Storage에 공인망으로 25TB를 저장하려면 2,153,000원이 넘게 발생합니다.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 전송량에 대한 요금은 상당히 많이 발생합니다.
사설 통신 또한 25TB를 저장하려면 500,000원이 발생합니다. 사설 네트워크 전송량에 대한 비용은 인터넷을 이용한 전송보다 비교적 저렴하나 저장량에 따라 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2) Archive Storage 비용
Archive Storage는 기본적으로 비용이 Object Storage에 비해 많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Object Storage와 동일하게 인터넷을 이용한 전송량이 많은 비용을 발생하기 때문에 LifeCycle을 이용하여 넘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 클라우드 스토리지 비용에 대한 생각
(1) Object Storage 사설 도메인을 통한 파일 다운로드
Object Storage는 공인 도메인 뿐만 아니라 사설 도메인을 제공합니다. (Archive Storage는 사설 도메인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공인 도메인: kr.object.ncloudstorage.com
사설 도메인: kr.object.private.ncloudstorage.com
사설 도메인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시 Outbound 비용이 청구되어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CloudFunction SDK를 이용한 Batch 함수 생성
https://guide.ncloud-docs.com/docs/storage-storage-8-2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코드를 통해 Object Storage를 제어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SDK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SDK에서 사용하는 버전이 CloudFunctions에서 사용하는 버전과 달라 CheckSum 알고리즘이 동작하지 않으니 패키지를 함께 묶어서 업로드하신 후에 해당 SDK 가이드를 통해 Batch 함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3) lzma로 파일 압축 (압축률 90%)
import lzma
def compress_file(input_path, output_path):
with open(input_path, 'rb') as ifh, lzma.open(output_path, 'wb') as ofh:
ofh.write(ifh.read())
다음과 같이 Python 라이브러리 중 하나인 lzma를 통해 다운로드한 파일을 압축합니다. 90%의 압축률이기 때문에 25TB의 데이터는 2.5TB로 줄일 수 있습니다.
(4) Object Storage 사설 도메인을 통한 압축 파일 업로드
이렇게 압축한 파일을 다시 file_upload 메소드를 이용하여 업로드시킵니다. 인바운드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5) Object Storage 기존 파일 제거
기존에 25TB의 데이터는 압축을 진행한 후 업로드까지 완료하였다면 지워줍니다.
(6) Object Storage 수명 주기를 이용한 Archive Storage로 파일 이동
Object Storage에서 Archive Storage로 파일 이동하는 것이 네트워크 비용 없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수명 주기를 설정하여 파일을 단계적으로 넘깁니다.
4. 최종 비용 비교
(1) AS-IS
25TB를 Object Storage에 보관하여 매월 70만원씩 사용합니다.
(2) TO-BE
최초 1회 아웃바운드 사설 통신으로 인해 50만원이 발생하나 이후에는 따로 발생하지 않습니다.
압축 저장하여 2500GB 데이터를 13,750원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비용 절감 효과
항목 | 전환 전 (Object Storage) | 전환 후 (Archive Storage) |
월 비용 | 약 700,000원 | 최초 500,000원 발생, 이후 월 약 13,750원 |
절감률 | - | 97% 이상 절감 |
이번 시간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인 Object Storage에서 비용을 최적화하여 현재 상황에서 가능한 가장 저렴한 방법으로 스토리지 이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CloudFunctions에서 SDK를 이용한 Object Storage 이용 방법이 정말 어려웠는데 가이드에 나와 있지 않은 내용들을 위주로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서 진행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loud > Naver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NCLOUD] KVM 서버에서 서버 이미지와 블록 스토리지 스냅샷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0) | 2025.02.24 |
---|---|
[NCLOUD] 기업 환경에서 VPN Full Tunneling과 Split Tunneling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5.02.18 |
[NCLOUD] Rocky Linux 8.10에서 Docker 설치하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4.12.04 |
[NCLOUD]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통신 테스트하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4.10.31 |
[NCLOUD] 서버 오류 시 서버 접근 제어 콘솔이 비활성화 되어 있을 때 조치 가이드 (1) | 2024.10.28 |
클라우드, 개발, 자격증, 취업 정보 등 IT 정보 공간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