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Android] XAMPP로 개인 웹 서버 구축해 안드로이드-MySQL 연동하기(2) Apache+MariaDB+PHP](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G0FP%2FbtsamXyVhyM%2FNaDUjGg6P2BJc9MkcxngYK%2Fimg.png)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 XAMPP 설치에 이어서 안드로이드와 MySQL을 연동하는 실습을 진행하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Filezilla Server를 다운로드 받았기 때문에 이번 시간에는 Filezilla Clien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사전 준비 (XAMPP)
[안드로이드/Android] XAMPP로 개인 웹 서버 구축해 안드로이드-MySQL 연동하기(1) Apache+MariaDB+PHP (tistory.com)
[안드로이드/Android] XAMPP로 개인 웹 서버 구축해 안드로이드-MySQL 연동하기(1) Apache+MariaDB+PHP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XAMPP로 서버를 구축해 안드로이드와 MySQL을 연동하는 실습을 진행하겠습니다. 1. XAMPP 란? XAMPP는 웹 개발을 위한 통합 패키지입니다. XAMPP는 Apache, MySQL, PHP 및 Perl을 통합
eveningdev.tistory.com
실습을 진행하기 앞서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여 XAMPP를 설치해 주세요.
1. Filezilla Client 란?
FileZilla Client는 FTP(File Transfer Protocol)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로, 원격 서버와 로컬 컴퓨터 간 파일 전송을 지원합니다. 이는 웹 개발자나 서버 관리자가 웹 서버에서 웹 사이트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됩니다.
FileZilla Client는 무료이며, Windows, Linux, macOS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SSL/TLS 보안 연결을 지원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시 보안이 보장됩니다. 또한, 전송 중단 및 재개 기능을 지원하여, 큰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 전송 중단 시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FileZilla Client는 사용하기 쉬우며, 파일 전송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FTP 호스팅 서비스와 호환되기 때문에, 다양한 웹 호스팅 서비스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2. Filezilla Client 장점 (사용하는 이유)
장점으로는 원격 서버와의 파일 전송이 쉽고 안전하며, 속도가 빠르다는 점입니다. 또한,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무료로 제공되기 때문에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능이 다양하고 사용이 쉽기 때문에, 웹 개발자나 서버 관리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3. Filezilla Client 설치하기
filezilla-project.org/download.php?platform=win64
Download FileZilla Client for Windows (64bit x86)
Download FileZilla Client for Windows (64bit x86) The latest stable version of FileZilla Client is 3.52.2 Please select the file appropriate for your platform below. Please select your edition of FileZilla Client FileZilla FileZilla with manual FileZilla P
filezilla-project.org
위 링크에서 FIlezilla Client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Filezilla Client 입니다. 상단에 보이는 빠른 연결을 통해 Server와 연결해주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지난 시간에 보셨던 XAMPP Control인데 여기서 보이는 Filezilla는 Filezilla Server입니다. 화면에 보이는 [Admin]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는데 처음 설정은 기본값이기 때문에 OK를 누르면 바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서버를 실행시켜주셨다면 서버에 유저를 생성해야 합니다. [File] - [Edit]을 눌러줍니다.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Filezilla에서 유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다시 Filezilla Client로 돌아오면 상단에 있는 [호스트, 사용자명, 비밀번호, 포트]를 채워주세요
호스트(로컬 서버): 127.0.0.1
사용자명: 서버 유저 생성 시 지정한 아이디
비밀번호: 서버 유저생성시 지정한 비밀번호
포트번호: 21
유효한 값을 넣고 [빠른 연결]을 누르면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되고 디렉터리 목록이 조회가 됩니다.

Filezilla Server로 돌아와서 [File] - [Edit]에서 다시 유저 설정 화면으로 들어옵니다. 좌측 메뉴에 [Shared folders]를 눌러 순서대로 입력해주세요. 3번 폴더는 C:\xampp\htdocs 경로의 폴더입니다.

다시 Filezilla Client로 돌아오면 FTP를 이용해 Filezilla Server와 통신할 수 있습니다.
웹 서버를 이용하는 이유는 안드로이드에서 MySQL에 직접 연결할 수 없고 웹을 통해서 파일에 접근하기 때문입니다.
4. 연결 확인하기
안드로이드와 연결하지 않았지만 웹 서버를 이용하여 PHP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게 되면 Path 경로를 통해 파일에 접근 가능합니다.

<?php
$con = mysqli_connect("localhost", "데이터베이스Id", "데이터베이스Password", "데이터베이스명(스키마)");
$userID = $_POST["userID"];
$statement = mysqli_prepare($con, "DELETE FROM USERINFO WHERE userID = ?");
mysqli_stmt_bind_param($statement, "s", $userID);
mysqli_stmt_execute($statement);
$response = array();
$response["success"] = true;
echo json_encode($response);
?>
다음은 웹 서버를 이용해 PHP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는 코드입니다. 간단한 코드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Filezilla Client에 대해 알아보고 웹 서버를 이용해 PHP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는 코드를 알아보는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감사합니다.
'Framework >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Android] Error launching studio 오류 해결 (0) | 2021.03.18 |
---|---|
[안드로이드/Android] XAMPP로 개인 웹 서버 구축해 안드로이드-MySQL 연동하기(3) Apache+MariaDB+PHP (5) | 2021.02.24 |
[안드로이드/Android] XAMPP로 개인 웹 서버 구축해 안드로이드-MySQL 연동하기(1) Apache+MariaDB+PHP (2) | 2021.02.24 |
[Android]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가상환경에 대해 알아보고 가상 환경 실습하기 (0) | 2021.02.23 |
[Android]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 대해 알아보고 설치 실습하기 (0) | 2021.02.23 |
클라우드, 개발, 자격증, 취업 정보 등 IT 정보 공간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